전체 글 127

위젯은 마치 광고와도 같은 것.

위젯은 마치 광고와도 같은 것.정말 필요한 위치에 배치되어있을 때. 즉 유저가 더 많은 정보를 알려고 하는 순간 그 위젯이 있다면. 유저들은 그 위젯을 눌러 새창으로 이동하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지 않을 것이다. 즉 위젯이 불필요한 광고가 되어서는 안된다.유저들이 원하는 그 적재적소에 올라가 있어야 한다. 서비스 제공자에게 위젯은 자사 서비스로의 유입을 늘리는 수단이며유저들에게 위젯은 본인에게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페이지로의 이동이다.(여기서 위젯은 클릭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는 기능을 가진 위젯만을 말함. 현재 고민중인 위젯이 그러하기 때문 :) ) ## widget•이 여행 장소의 이름•최신 리뷰•가장 인기 있는 리뷰•평균 별점 / 몇명 기준?•더 많은 리뷰 보기•더 많은 사진 보기•리뷰 ..

Work 2014.03.17

PLUX1주차_여행산업 그리고 여행객들의 컨택스트의 변화

PLUX 1주차_ 여행/웨어러블 디바이스 트렌드 조사 겸 정리해 본 여행 트렌드에 대한 정리 여행 산업의 변화 - pc에서 모바일로. 여행 어플리케이션 예약 건수 증가 (언제 어디서나 항공권조회, 여행정보 검색 가능. 여행지 주변 리뷰검색. 여행지 찾아가는 방법) - 불필요한 일정없이 저렴한 가격의 자유여행 선호(에어텔패키지 인기) - 패키지+자유여행_ 세미패키지 등장 - 1박2일/아빠 어디가 등의 방송 영향 캠핑여행 급증 - 커머스/땡처리 등으로 저렴한 여행 상품들. 시간만 된다면 해외여행 여행 서비스의 변화 - MAP. 구글/아이폰/네이버/다음 지도의 발전_3D 맵, 스트릿뷰. - 여행멘토링. 여행 가이드 서비스 등장(마이리얼트립, Peek 서비스,스투비플래너) - 여행+사진_ 핀터레스트(여행맵),인..

Society 2014.03.17

어떤 관점에서 페르소나를 개발해야할까.

트립비 페르소나를 만들던 중 고민하나.서비스의 관점에서 트립비를 사용할만한 가상의 인물. 을 만들어가는 과정인가 컨텍스트의 관점에서 여행을 좋아하고 영위하는 사람들 중 우리의 페르소나는 누구일까. 를 고민하는 과정인가 어찌보면 한끗차이인데. 페르소나의 정의 자체가 혼란스러워지는 순간이다.. 정답은 좀 더 고민해보는걸로. 추가 정보-------------------------1. Guideline1 가상의 사용자를 모집한다.2 서비스 목적을 사용자들과 공유한다.3 퍼소나에 대한 브레인 스토밍을 진행한다.기초데이터에서 중요한 단서를 찾는다.(시장보고서, 동향보고서, 사용자 정성조사나 정량 조사자료 등 다양한 자료)4 어피니티 벽(Affinity Wall)에 포스트잇을 붙인다.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어(나이,직업..

Work 2014.03.03

Think loudly step 1,2,3

Think loudly 1,2,3 "Think loudly” 목표에 대한 전략을 세분화하여 세울것. 전략을 크게 세우고 이를 누군가에게 컨펌받을 것. - 전략이라함은 목표를 이루기 위해 어떤 프로세스를 밟아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 1. 키워드를 모은다 2. 모아진 것을 정리한다 3. 우선 순위를 세운다 - 전략을 세운 후, 그 전략을 위한 방법들을 최대한 세밀하게. 그 누가 와서 일을 대신하게 되더라도 모두 같은 결과가 나오도록. 1. 키워드를 모은다_벤치마크 : 모바일 어플, 사이트, 책자(목차) -> 더 세분화해서 "yes24에서 여행 카테고리 top15에 있는 목차들을 정리한다. 등등” _아이데이션 : 3. 우선 순위를 세운다 -> 우선 순위에 대한 기준은 ? “관심” -> 관심에 대한 기준은? “사..

Work 2014.02.26

프로젝트에 대한 팀원들의 긴장감 유도

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구성원들이 느끼는 프로젝트에 대한 애착도 그리고 그 프로젝트의 일정에 대한 부담감, 긴장감은 각각의 성향에 따라. 각각의 역할에 따라 다르다.기획자가 그 부담감이 더 큰 이유는 클라이언트와 밀접하게 커뮤니케이션하는 역할이기 때문.팀원들의 성장을 위해. 그리고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마무리를 위해 기획자는 다른 팀원들에게도 그러한 부담감과 지속적인 긴장감을 유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들에게 역할을 주어진 시간 내 끝마칠 수 있도록 채찍질하고, 당근을 주는 것은 프로젝트를 위한 자극일 뿐만 아니라 각 팀원들의 성장을 위한 스텝이기 때문이다.What은 알겠는데.. How가 어렵다..ㅠ

Work 2014.01.14

관리자가 알아야 할 기획자 트레이닝 방법 7가지

출처 : http://www.demitrio.com/?p=8414 과장이상으로 올라가 보면 그때부터 새로운 부담이 생긴다. 지금까지야 이 한 몸만 잘 건사하면 되었지만 이제부터는 당신이 맡아서 키워내야할 주니어들이 부서에 들어와서 당신 얼굴만 바라보고 있다. 이쯤되면 나 뿐만 아니라 남을 챙겨야 한다는 부담감에 멘붕이 한차례 밀려오고 주니어들에게 숙제를 주는 것도 업무만큼 부담으로 다가오게 된다. 내가 그 부담을 약간이나마 덜어드릴까 한다. 당신이 살짝 간과한 부분을 대상으로 초보 기획자를 트레이닝 하는 방법 일곱가지를 소개한다. 채택할지의 여부는 각자 판단하시라1. 중요회의에 데려가라높은 양반들만 참가하는 회의일지라도 주니어 한 두명을 데리고 들어가서 거기서 벌어지는 일을 보게하라. 그냥 데리고 들어가..

Work 2014.01.13